게시판

소식

[분석기법] SVA란?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4-16 12:17:15

진술분석(Statement Analysis)이란?

진술분석에는 대표적으로 진술의 진실성을 탐지하는진술타당도분석(Statement Validity Analysis;SVA)

거짓을 탐지하는과학적 내용분석(Scientific Content Analysis;SCAN)이 있습니다.

 

 

SVA는 심리측정검사나 기계적인 체크리스트가 아니라주어진 진술에 대하여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일련의과학적 연구방법 절차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진술타당도분석은 진술의 근원이직접 경험을 기술하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근원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문제에서 출발합니다(Köhnken, 2004).

 

 

SVA의역사와 국외 활용

SVA는 스웨덴과 독일의 법정심리학에서 출현하였는데,성범죄 관련재판에서

아동 목격자 증언의 진실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독일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독일 대법원은1955년 모든 성범죄 사건의 진실성을 판단하는데 심리적 면담과 평가를 사용하도록 하는

법률을 제정하였습니다.스웨덴에서는 특히,아동 성범죄 사건이 가정 내에서 발생한 경우,용의자가 부인하는 경우,

피해자가 취학 전 아동인 경우에 전문가(심리학자,정신과의사)의 활용도가 높습니다(Gumpert, 2001).

 

진술타당도분석의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현실모니터링과 같은 접근법들과 준거기반내용분석을 연결시키고

(Alonso-Quecuty, 1992; Johnson and Raye, 1982; Spporer and Kupper, 1995; Sporer, 2004),

진단절차와 가설 검증의 기본 원리를 적용시키고자 하는 시도들은 진술타당도분석이 과학적 방법으로 진보하여

인정을 받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었습니다(Kohnken, 2004).

 

유럽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 때문에 진술분석의 사용에 대한 수용도가 높으며,

진술분석 전문가는 아동의 진술 신빙성에 대한 판단도 제공합니다.

 

미국 법정에서 진술분석 전문가(주로 심리학자)의 역할은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 분야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자료 분석에 대한 경험적 토대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허용되고 있습니다.

 

진술분석 전문가는 진술인의 증언 신빙성을 반영하는 진술의 다양한 특징들을 지적하여

법정에서 사실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Rogers, 1990).

 

몇몇 북미 법정에서도 진술타당도분석의 결과들이 전문가를 통해서 증거로서제시되지만,

주로 경찰수사를 가이드하고,검사의 자유 재량권을 행사하는데 진술타당도분석을 이용합니다(Raskin& Esplin, 1991).

 

 

()바로에서는과학적인 근거풍부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진술분석 감정서비스컨설팅을 제공합니다.

 

 

관련 도서

Pär Anders Granhag & Strömwall (2004).The Detection of Deceptionin Forensic Contexts.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